개발과 잡지식

돈(money)에 대해서 본문

이것저것

돈(money)에 대해서

잘하고싶은잉여 2020. 12. 15. 12:38

1. 7대 이슈로 보는 돈의 역사 2

1.1. 신안 보물선

1.1.1. 신뢰 : 돈과 신뢰의 관계

1978 년 신안 앞 바다에서 발견된 28톤, 800만 개에 달하는 동전 밸러스트, 규모의 보물선 발견

1.1.1.1. 이유

  • 과거 일본 막부 시대, 막부 자체의 돈을 만들 수 없음, 중국 국가의 동전을 자국의 화폐로 사용

  • 다른 나라 돈을 자국에서 화폐처럼 사용 해도 되는가?

  • 소말리아 사용 화폐는 소말리아 실링, 20년전에 사라진 소말리아 정부에서 발행 했던 화폐 : 부패한 현 정부가 과거 화폐를 대량으로 찍히 힘드니 오히려 돈의 역할을 잘 수행함.

1.1.2. 송나라 금속 화폐가 송나라 외부로 나가게 된 이유

  • 중국 화폐의 발전으로 인한 동전의 가치 상실 (실물 - 금속 - 신용)

    신용 화폐로 종이를 사용하게된 중국에게는 금속 화폐는 너무 무겁고 비효율 적임.

1.1.2.1. 주조 차익

화폐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의 가격이 올라 화폐보다 비 싸져서 돈을 물질의 가격으로 팔아서 생성되는 이익

화폐의 발전이 금속 일때는 화폐의 가격은 그 화폐의 정의 보다는 화페를 이루고 있는 재화의 가치에 의해서 정의되는 경향이 있음

로마 시절 초기 은이 많이 들어건 동전과 은이 많이 줄어든 동전의 가격 차이가 많이 발생함 (나라에서는 같은 동전이라고 했지만..)

1.1.2.2. 신법 : 화폐 공급 확대

100~200개 생성되던 주화를 400개 까지 향상 시킴 (단위 만)

돈의 가치가 내려감 - 인플레이션 - 완만하면 경제 상승 : 돈을 가지고 있기보다는 재화를 사려고 함

재물 생산율 증가 - 잉여 병력 - 품삵 하락

디플레이션 위험에 대한 대응 책

경기 침체 -> 물가 하락 -> 실업률 상승 -> 경기 침체 -> 물가 하락 :: 도돌임표

북송 금에게 정복, 북송 새력들은 귀중한 가치를 들고 남송으로 대피, 대피 할 때에 비싼 물건을 챙겨감, 주화는 상대적으로 무거워 종이로된 상평통보 등을 가지고 감, 주화에 묶여 있던 인식이 변함 - 남송에서는 지폐로 주화를 대체 가능 해짐

가치 있는 금속 혹은 재화가 화폐를 이루어야 한다는 개념에서 탈출

1.2. 차이나 러브 실버, 골드

몰락하는 화폐의 가치

전쟁에서 짐 -> 화폐 필요 -> 많이 찍음 -> 인플레이션

1.3. 질병과 돈

1.4. 흑사병

인구가 감소 하면서 1인당 경작 가능한 토지 증가, 1인당 소득 증가 : 엥갤 계수 : 식료품 소비 비중 감소 현상, 사치성 소비재 수요 증가

사치 품 : 해외, 농산물 : 자국

농순물 가치 하락, 사치 품 가치 상승 => 디플레이션 발생

금, 은 가치 상승 예상 >> 귀금속 품귀 현상 발생

광산 을 찾자 >> 북미 발견 >> 노예 이주 >> 인종 문제

가난한 나라에서 부자 나라로 이민을 올 경우 저 학력 노동직의 물가가 오르지 않음. 이로 인해 화이트 니거 등장 : 아일랜드 사람들

... 이만 책 내용에 흥미

2. 사피엔스 스튜디오

조승연 화폐

2.1. 돈이란 무엇인가

무언가를 교환 할 수 있는 물건이 정당성을 주는 것.

2.1.1. 조개가 화폐였다?

틀린 말이다 조금 자세히 보면

부족 생활 당시 조개 같은 것에 사회적 지위를 표현 하는 단위 였음

누군 가에게 조개를 받게 되면 준 사람은 사외적 지위를 박탈 당하는 것.

그만 큼 귀중하고 중한 가치 상징 하는 물품이 조개였음

조개를 많이 가지고 있다는건 사외적 지위가 상승을 의미 수요가 있음

그래서 무슨 일이 터져서 배상을 하거나 해야 할 때 조개를 주었던것.

2.1.2. 노예 화폐

무엇을 사기 위해서 사람을 노예로 팜.

내 아들 노예로 줄테니 빵 줘요

풍년 풍년 풍년 흉년 흉년 흉년

농부들이 이자를 흉년 흉년 흉년 이러면 이자를 내기 힘들어짐

무엇을 못 갚으면 딸, 장남 을 그 집에 종으로 받침

민란이 너무 많이 일어남, 나같아도 노예가 되느니 차라리 전쟁을 택함.

2.1.3. 군사 화폐

군인이 정벌을 나간다.

장군이 부하들에게 월급으로 소금을 준다

병사들이 정벌 나간 지역에서 소금으로 무엇을 살 수 있을 까?

못산다. 그 지역 원주민이 소금으로 화폐를 안씀.

정당성을 어떻게 부여 할까?
세금! 보호 하는 명목으로 군인 들에게 주는 월급과 동일 한 것을 받는다.

결국 원주민들은 군사들의 월급으로 받는게 소금이든 조개든 돌맹이든 수요가 생기게 된다.

군인들이 월급으로 지급 받는 물건에 대해서 정당성을 부여하는 것.

2.1.4. 이자는 너무 나빠.

이자로 인해서 군사 집단에게 정령 당한 곳은 아들 딸 등 사람을 뺐기고 군사들에게 휘둘리기 시작한다.

이시절 군사들도 땅을 담보로 빌린 돈의 이자가 너무 쎄서 악랄 해 줄 수 밖에 없었다.

기독교는 이자를 금함

돈이 안돌아 다니게 됨 -> 자급 자족 사회 -> 봉건 사회

아랍인은 다른 방식 : 어음 화폐

2.1.5. 어음 화폐

받을 것을 기록 -> 나중에 갚을 께! 데헷! -> 약속증

아니? 신용을 어떻게 알고 어음을 해주지?

1년에 한번 씩 가야 하는 메카의 성지

동네에 한명 씩은 메카에 있는거임 -> 신용 공유

유럽인들이 이걸 도덕적으로 잘 못 배움

2.1.6. 이자 화폐

제국주의가 시작하게 됨
괴테, 셰익스 피어, 등등 잘 사는 시기
유럽 말고는 고통의 시기

템플 기사단 : 국제 대기업
유럽 기사 : 땅만 가지고 있는 거지들

유 -> 템 : 땅 을 맡김
템 -> 유 : 식/숙박권, 현금

어떻게 유지됨? 이자도 받으면 안돼는데?

기사가 뒤지면 템플 기사단은 뭐를 얻어?

편볍

이자와 벌칙금은 다르다!!

원금 상환 기간을 짧게 잡아서 벌칙금을 고리대금 처럼 함.

기사들은 정복지에 가게 되면 벌칙금 때문에 더 많은 약탈을 해야함

식민 주의 시대 악몽

이자로 인해서 서로 착취를 해야만 하는 상황에서 패권 국끼리 싸우게 됨

1차 2차 세계 대전
그 이후, 국가에서 화폐 발행

2.1.7. 정치 화폐

국가가 빚이 많아짐.. 백성들에게 돈을 받아라 -> 국고채

비싼 물건, 부동산, 배 같은 걸 살 때 왕실을 믿고 백성 들은

국고채를 통해서 거래하기 시작함.

국고채 - 동인도 회사 : 지폐 발급

어떻게 성립 될까?

  1. 은행 연합 탄생

  2. 은행 연합 : 야 국가야 니 빚 쪼개서 판다?

  3. 은행 연합 : 흠... 근데 정당성을 어떻게 얻지??

  4. 은행 연합 : 영국 식민지 대표 회사인 동인도 회사에 이걸 월급으로 주자!

  5. 국민 : 오홍? 이게 왕이 나한테 은 1파운드 무게 만큼 지급한다는 종이임? 믿음직 스럽군

  6. 영국의 식민지 사람들 : 세금을 저저저저 종이 쪼가리로 내라고??

  7. 상인 : 흠 사람들이 저 종이를 가지고 싶어하는군 물물 교환 하려면 저게 필요하군!

2.1.8. 데이터 화폐

비트 코인 같은 데이터 화폐, 누군가가 인위적인 조작이 불가능 함.

신용만 얻고 사람들이 많이 사용하게 된다면 역사적으로 가장 완벽한 화폐

2.2. 덧 붙여서

이자 화폐, 어음 화폐는 두가지 같이 사용되며 꾀 오랜 시간을 유지하게 됨

달러가 브렌트 우드 시스템을 없앨 때 까지

2.3. 골드 스탠다드

종이 지폐 초기에는 글이 적혀 있음 : 이 종이를 국가에 가져오면 금 얼마치를 주겠다

국가에 대한 믿음으로 지폐가 생김

국각가 골드를 보유하고 있으면 그를 바탕으로 지폐에 분할해서 나눠줌

1차 세계 대전 이후

독일 빚이 너무 많아짐...

독일 : 흠... 금화 비율을 바꿔서 지폐를 만들까..
1 마르크 : 10 금 => 1마르크 : 100 금
종이가 신뢰를 잃어버림. 지폐 가치가 없어짐

독일과 상업으로 연관 되어 있는 유럽 국가들도 같이 망함

대공항을 불러 일으키는 계기가 됨

2.4. 2차 세계대전 이후.. 또 반복?

미국 짱짱맨 : 금은 내가 가지고 있을 께 그에 기반해서 달러를 찍을 께, 그리고 너네는 달러와 비례해서 돈을 찍어라

금은 미국에 모이고, 다른 나라는 달러를 받아쓰고~

브렌트 우드 시스템 : 달러 기축 통화제

근데.. 너무 달러가 많이 쓰인다... 딸라가 동나면 어떻게 해?

IMF : 달러가 동이 날 떄 일시적으로 채워 주는 기관.

미국 보수 사람들은 브렌트 우드 시스템을 좋아함.

왜 찢었을 까??

2.5. 신용 화폐

리처드 닐슨 도미노 이론 신봉, 베트남을 사수 하라

전쟁 콰콰콰콰코카 돈을 아니 달러를 많이 쓰게됨

채무국에서 채권국으로 바뀜.. 망했으요..

닐슨 : 야 금을 주겠다는 약속을 이제 지폐에서 지워

응? 지폐 가격 하락이요
응? 지폐 가격 하락이요
응? 지폐 가격 하락이요
응? 지폐 가격 하락이요
응? 지폐 가격 하락이요
금 값 상승이요
금 값 상승이요
금 값 상승이요
금 값 상승이요

닐슨 : 헷, 빚은 달러이고 금 값은 올랐으니 개이득

이후.. 지폐에는 법적 효력을 나타내는 문구만 존재 할뿐.

2.6. 금도 안주는데.. 어떻게 달러가 금을 대체해?

미국 경제 => 금 => 달러

미국 경제 => GDP => 달러 가치

어떻게 달러는 지금 같은 위치를 가지게 됬었나?

석유 : 런던 국제 통화 기구 에서 거래 : 달러로 계산

무기 : 무기는 미국이 군사 기술 짱이지 : 달러로 계산

달러가 통화의 기준이 된다 => 우리 나라도... 일부는 달러임

정치 화폐는 정치력이 강할 수록 좋음

정치가 약한 나라에서는 자기네 돈 보다 달러를 좋아하게 됨

돈이 점점 정치가 강하고 안정적인 나라 쪽으로 쏠리게 됨

자산 파킹 : asset parking

홍콩 부동산이 미쳐 날 뛰는 이유, 홍콩 아파트 평당 6억 4천만원

'이것저것' 카테고리의 다른 글

smart money  (2) 2021.0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