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쿠버네티스 유저
- 오픈텔레미트리
- 마스터 노드
- container runtime
- Dag
- Branch
- worker node architecutre
- Kubernetes User
- Data store
- opentelemetry
- 쿠버네티스 구조
- smart money
- worker node
- 쿠버네티스 네터워크
- 깃
- GIT
- 기저조건
- 워커 노드 구조
- 워커 노드
- 종결 조건
- 장단기 금리 차
- 쿠버네티스
- k8s
- 컨테이너 런타임
- 왜 쿠버네티스
- Instrumentation libraries
- controller manager
- master node
- Kubernetes Architecture
- COMMIT
- Today
- Total
개발과 잡지식
Git02 - Git remote and local 본문
Git remote and local
앞에서 깃에 대한 구조와 저장되는 걸 얼추 추상적이게 보았다.
이번에는 깃을 더욱 잘 쓸수 있게 온라인에 올리는 것에 대한 배경지식 ? 을 배울 예정이다.
깃 공유
내 로컬에서 관리되는 깃을 외부 사이트 들에 올릴 수 있다.
깃을 지원해서 공유 할 수 있는 플렛폼은 여러가지 있지만 그중 대표적인 git-hub에 대해 설명하려고 한다.
git hub : https://github.com/
간단하게 가입을 하고 진행하면 된다.
앞으로 사용할 레퍼지토리(프로젝트 이름)을 설정한다.
공유식으로 만들지 내부로 만들지 개인적으로 만들지 설정하는 것! ~차피 우리가 만든건 남들이 많이 보질 안하요... ~ 부끄러워 하지 말고 공유 모드인 public을 만들자. public을 제외한 건 유로 알고 있다.
이름 그대로 대표적인 파일중 하나인 프로젝트에 관한 설명을 담을 파일을 생성하겠냐는 것이다.
우선 간단하게 보기 위해 우리는 설정을 해제 하고 만들자. 나중에라도 추가하면 되니깐
간단하게 md파일 형식으로 만들어지는데 마크다운이라는 형식이며 간단하게 글 형식을 만등러준다. 물론 따로 꾸미는 법을 공부해야 하지만 러닝커브라고 하기도 뭐할 정도로 쉬우니 시간이 될때 익숙해져 보자.
얼마나 안읽으면 readme일까.. 여러분도 github doc 안보고 내 글 보고 있으니.. 알만하지 않은가 ㅋㅋ 나도 여러분과 같다.
출처 : https://docs.github.com/en/free-pro-team@latest/github/getting-started-with-github/create-a-repo
간단하게 위의 이미지를 따라서 만들면 된다.
README를 안만들면 위와 같은 화면으로 넘어온다.
아래 간단한 명령어에서 설명을 이어져 있다.
remote 란?
우선 이쯤에서 remote 란 개념을 한번 짚고 넘어가자.
git은 버전관리 프로그램으로 내 컴퓨터 상에서만 한다.
근데 이 깃을 깃헙에 올리게 되면 내 컴퓨터에 있는 깃과 깃헙에 레포지 토리라는 위치에 외부 깃이 생성된 것이다.
내부에 있는 깃과 리포지토리에 있는 깃 이렇게 두개를
내부 : local, 깃 헙 : remote 라고 보면 된다.
즉 내가 내 컴퓨터에서 깃을 아무리 변경해도
remote git은 아무것도 변경되지 않는다.
remote를 변경 하고 싶거든 push 등을 통해 올리면되고
반대로 remote를 local로 받으려고 하거든 pull하면 된다.
간단한 명령어
그러면 간단하게 설정하는 명령어를 볼 수있다.
하나 하나 봐보자
우선 이미지 최상단에 있는 건데 이 온라인에 깃을 올릴 주소 가 있다. ssh 설명은 추후에 찾아보는 걸로하고 우린 https 주소를 사용하자.
…or create a new repository on the command line
echo "# test" >> README.md
// 리눅스 명령어로 resadme.md 파일을 만들어 # test 라는 글을 넣는 것이다.
git init
// 이 명령어를 치는 디렉토리 하위에 있는 내용들을 깃으로 관리하도록 깃을 생성 한다는 것!.
전 글에서(https://dev-any-meg.tistory.com/3) 다룬 것처럼 오브젝트화 하고 트리를 생성할 깃 이라는 아이를 생성하는 것이다.
git add README.md
// 깃이 관리할 파일로 리드미 파일을 추가한다는 것
//md => markdown 이라는 형식이다. 간단하게 글을 꾸며주는데 러닝커브라고 할 것이 거의 없을 정도로 배우기 쉽다.
// 이 블로그 글도 mark down 으로 작성 됬다.
// ~글쓴이는 드럽게 디자인 감각이 없는데 마크다운이 꾸며줘서 지금 보이는 글 처럼 모양이 깔끔하게 나온다.~
git commit -m "first commit"
// 현재 디렉토리 밑에 있는 파일 및 폴더를 저장하는 커밋을 생성 하고 메시지를 남기는 행위
git branch -M main
// main 브랜치를 생성 한다. 현재 branch가 무엇이던지 -M 설정을 통해서 강제로 브랜치 이름이 main 이름 변경된다.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always-begin/test.git
// 내 현재 디렉토리 위치에 있는 깃과 웹에 있는 깃(remote)을 연결 해준다.
// 풀어 말하자면 내 깃과 연결된 리모트를 추가 할꺼야 (여러개 추가가능) 이름은 origin이고 주소는 https:~~~야!
git push -u origin main
// 내 현재 깃을 리모트에 올린다는 것이다.
// 로컬 깃을 밀어 넣는다 리모트로 (upstream: -u) main이라는 브런치에!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04 - Git ignore (0) | 2020.12.25 |
---|---|
Git03 - Git alias (0) | 2020.12.25 |
Git01 - Git branch, Commit (0) | 2020.12.25 |
Git00 - Git 이란? (0) | 2020.12.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