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k8s
- 컨테이너 런타임
- 쿠버네티스 구조
- 쿠버네티스
- Dag
- worker node
- GIT
- controller manager
- 마스터 노드
- 워커 노드
- 오픈텔레미트리
- 장단기 금리 차
- opentelemetry
- Instrumentation libraries
- 쿠버네티스 네터워크
- master node
- 기저조건
- worker node architecutre
- Branch
- 워커 노드 구조
- smart money
- Kubernetes Architecture
- 쿠버네티스 유저
- container runtime
- 깃
- COMMIT
- 왜 쿠버네티스
- Kubernetes User
- Data store
- 종결 조건
- Today
- Total
개발과 잡지식
Algo00 - 알고리즘이란 본문
알고리즘 이란?
요즘은 너무 알고리즘이란 말이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어서 앞으로 내가 말하고 싶은 알고리즘에 대해서
시작하기 전에 집고 넘어가야 할 것 같다.
어떤 기능을 작동하는 의미에서 알고리즘 보다는
최적화와 경진대회 혹은 취업 하기 위해서 사용되는 알고리즘에 대해서 쓰려고 한다.
왜 기업들 혹은 선발 과정 등에서 알고리즘을 보는가
현재 기업들에서 소프트웨어 교육 혹은 취업으로 인원을 뽑고 자 할 때
거의 알고리즘 테스트를 진행 한다. 여기서 '그냥 귀찮게 별걸 다 물어보네' 라고 넘어가기 보단 왜 필요한지 이유 부터 알고 넘어가는게 좋겠다.
알고리즘은 기초 체력과도 같다고 개인적으로 생각하고 있다. 많은 사람이 알고 있는 것 처럼 컴퓨터 공학에서 갈 수 있는 영역은 너무나도 무궁 무진 하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을 일괄적이게 테스트를 보자면 어떤 분야에 특별한 지식을 묻는 것은 사실 형평성에 맞지 않다고 생각한다.
그러다 보니 기본적 사고력을 묻는 알고리즘을 여러 곳에서 물어보는 것 같다.
취준용으로만 공부 할까?
알고리즘은 최적화에 관한 문제들이다. 물론 토익 시험을 준비하 듯 원래 취지와 상관 없이 스킬만 공부해도 되지만 (급하다면)
어떻게 최적화를 해야하고 왜 이러한 최적화 방법이 유명하게 됬는지는 알고리즘 마다 최소 한 번씩 다시 생각할 필요는 있다고 봅니다.
그래야 알고리즘을 공부하고 푸는게 스킬 공부가 아니라 알고리즘적 사고를 기르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
취업만 하면 알고리즘 안해도 되나요?
그러면.. 나는 이 글을 작성 하고 있지 않겠죠?
현재 이직 준비 혹은 교육의 기회를 잡기 위해.. 나도 다시 알고리즘을 공부할 겸 글을 올리는 중...
화이팅... 우리는 이 길로 잘 못 들어온 이상.. 평생 공부 해야 하는것 같아요 ㅜ.ㅜ
블로그 알고리즘 선행 조건
vector queue stack hash 등 기본 자료구조는 알고 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최대한 친절하게 설명하겠지만... 힘들어서 너무 자세히는 생략 할 예정입니다
'알고리즘' 카테고리의 다른 글
Algo 04 - 재귀함수란 무엇인가? (0) | 2021.01.14 |
---|---|
Algo 03 - 탐색 알고리즘 - 1 DAG (0) | 2020.12.25 |
Algo02 - 탐색 알고리즘 - 0 선행 개념 (0) | 2020.12.25 |
Algo 01 - 반복문, 에라토스테네스의 체 (0) | 2020.12.25 |